2-5 바운스계의 진동 특성 --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자동차의 댐퍼의 감쇠력은 그냥 주먹구구식으로 설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의 무게와 스프링의 정수에 따라서 정해진 범위 안에서 설정된다는 것이다. 바운스계(상하동계)의 튜닝방법에 관해서는 다음에 상세하게 서술하겠지만 여기서는 기초적.. Suspension Basic/조안성 기초이론 2012.02.22
2-4 타이어의 특성과 조종안정성 --- 가장 이상적인 서스펜션 형식에다가 제아무리 최상급 댐퍼와 스프링으로 무장된 차량이라고 하여도 타이어가 없으면 무용지물, 결국 최종적으로 지면과 직접 맞닿는 것은 타이어 뿐입니다. 모든 자동차의 운동 성능은 타이어에서 이루어지고 구현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타.. Suspension Basic/조안성 기초이론 2012.02.21
2-3 모멘트법 해석 3. 모멘트법에 의한 선회한계부근의 조종안정성 해석 다음으로 차량의 선회한계부근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선회한계부근의 조종안정성 평가에 관해서는 검토된 예가 그다지 없다. 그래서 예전부터 일본 긴끼대학 노자키 히로미치 교수가 미국 미리건리서치사의 모멘트법이.. Suspension Basic/조안성 기초이론 2012.02.19
2-2 주파수 응답 특성 2. 주파수 응답 특성 -- 이 또한 골치 아프게 보이지만 결론은 앞보다는 뒤가 밀리지 않게 사이드 슬립각을 적게하여 약간 언더 스티어가 나게 설정하라는 뜻입니다. 복잡한 것을 싫어 하시는 분들은 생략하셔도 무방합니다. 한편 조타 응답성 즉 핸들을 꺾었을 때 차량의 속응성, .. Suspension Basic/조안성 기초이론 2012.02.18
2-1 선회특성 (US - OS 특성) 조종안정성의 기초 이론 --- 이제 부터는 머리가 조금 아파집니다. 머리 아픈 분들은 그냥 생략하셔도 별 지장 없는 내용입니다. 조종안정성으로는 기본적으로 핸들 조작을 가한 경우의 키의 효력과 같은 것을 의미하는 조종성과 핸들에 조타를 가한 후의 차량의 수속성과 같은 것.. Suspension Basic/조안성 기초이론 2012.02.16